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FABRIC - Woven (평직 능직 주자직) 원단

by 놀러와작업실 2022. 9. 17.

1. Woven 원단 정의

우븐 (Woven)이란 모든 직물의 기본이 되는 삼원조직 즉 직기(직물을 짜는 기계)로 짠 원단을 얘기합니다. 직물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삼원조직인 평직, 능직, 주자직으로 나눠집니다.

우븐의 특징으로는 씨실(가로실)과 날실(세로실)이 교차하여 엮인 원단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우븐의 종류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면, 레이온이 있습니다.

2. Woven의 삼원조직 (평직, 능직, 주자직)

평직 (Plain weave) - 한 올씩 교차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교차점이 많고 강도가 높아 실용적이며 표리가 없어 제직이 간단합니다. 광택이 적고 구김이 잘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평직 원단의 종류로는 샤(Sheer), 광목(Muslin), 샴브레이(Chambray), 베티스트(Batiste), 트로피칼(Tropiacal suiting), 오스나버그(Osanaburg), 범포(Canvas, Duck), 심지(Interlining cloth)가 있습니다.

 

능직 (Twill weave) - 2~3올로 조합하여 사선 방향으로 나타나게 제직한 직물입니다. 평직보다 광택이 우수하며 바탕이 조밀하고 오염에 강한 편이며 유연하며 구김이 덜 생깁니다. 평직보다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능직 원단의 종류로는 데님(Denim), 플란넬(기모/Flannel), 진(Jean), 드릴(Drill), 서지(Serge), 개버딘(Gaberdine), 트위드(Tweed), 슈러(Surah)가 있습니다.

 

주자직 (Satin, Sateen Weave) - 5올 이상의 짜임을 가진 원단으로 광택과 매끄러운 외관으로 드레이프성(유연성)이 좋으며 부드럽고 구김이 덜 생기는 장점이 있습니다. 평직, 능직에 비해 방모성(좋은실)이 적으며 오염에 약하며 마찰 강도가 낮아 내구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습니다. 주자직 원단의 종류로는 경주자(Satin), 공단, 위주자(Sateen), 목공단이 있습니다.

3. 평직, 능직, 주자직 종류와 정의

평직

샤(Sheer) - 얇고 가볍고 비쳐 보이는 원단으로 견, 레이온, 나일론 등 합성섬유의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여성복, 스카프를 만듭니다.

광목(Muslin) - 경사와 위사의 밀도가 같은 평직물로 중간 무게로 제직하며 가볍게 또는 무겁게 제직 가능 합니다.

샴브레이(Chambray) - 위사에 경사와 다른 색의 단사를 사용하여 밀도 90~150 평직으로 제작된 직물로 면, 스판, 레이온, 합성섬유 방적사를 사용한 직물 (블라우스, 셔츠)를 만듭니다.

베티스트(Batiste) - 로온과 같은 생지로 유연하고 가벼우며 불투명한 평직물로 상당히 가늘고 긴 면코마사로 제직하거나 면, 폴리에스테르의 혼방으로 제직. 이합사를 사용하여 여러 색으로 프린트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트로피칼(Tropiacal suiting) - 여름에 입을 수 있는 소모직물로 40~60수 소모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성글게 제직한 직물을 일컫습니다.

오스나버그(Osanaburg) - 8~10수의 굵은 실을 사용하여 성글게 제직한 평직물로 의류용보다는 부대, 이불 안감으로 사용합니다.

범포(Canvas, Duck) - 제일 두껍고 컨퍼스와 덕 사이에 뚜렷한 구분이 있지는 않지만 비슷한 종류로 봄. 경사와 위사에 굵고 강한 실을 사용하여 조밀하게 제직한 두꺼운 평직물로 주로 신발을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심지(Interlining cloth) - 의복의 부자재로 탄력을 유지하기 위해 마모, 낙타모, 인모와 같은 강한 원료사를 혼합하여 제직합니다.

 

능직

데님(Denim) - 굵은 실로 제직한 뻣뻣한 원단으로 청색이나 블랙의 경사 위에 흰색의 위사를 능직으로 만든 제직물로 앞은 청색이고 뒤는 흰색으로 데님과 진은 같지 않습니다.

플란넬(기모/Flannel) - 경사와 두꺼운 위사를 이용하여 제직한 직물로 한쪽 면만 기모된 편면 플란넬과 양면을 기모한 양면 플란넬이 있습니다.

진(Jean) - 삼능, 세능이라 불리는 사문직으로 제직한 제직물로 주로 작업복이나 셔츠가 있으며 앞면과 뒷면 모두 청색입니다.

드릴(Drill) - 태능이라고 불리는 제직물로 세능보다 굵은 실로 제직하며 진과 같은 용도입니다.

서지(Serge) - 다양한 모사를 사용한 양면 능직물로 모직 중에서도 실용적인 직물. 경사와 위사가 같은 번수로 제직 되며 추동복이나 학생복에 사용됩니다.

개버딘(Gaberdine) - 경사의 밀도가 위사의 밀도보다 높으므로 사문선, 서지와 비슷한 직물로 본래 방수가공을 하여 레인코트지로 사용되었습니다.

트위드(Tweed)  - 굵은 방모사를 이용한 능직으로 표면이 거칠고 무거운 모직물로 홈스펀과 비슷한 용도 촉감 및 외간이 비슷하여 코트나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합니다.

슈러(Surah) - 능직으로 이루어진 유연한 견직물로 유연가공을 한 것과 레이온 및 기타 필라멘트사를 사용한 능직물로 백지, 담색 무지 직물이 있습니다.

 

주자직

경주자(Satin) - 견, 합성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제직. 오직 견사로만 만들어진 고가의 직물이 있으며 편평하고 부드러운 표면이 특징. 목공단과 위주자는 경주자를 따라 하려고 만든 직물입니다.

공단 - 직물 중 가장 광택이 많으며 여러 가지 필라멘트사로 제직 됨. 견사로 제직된 공단은 광택이 우수한 고급 직물로 란제리, 스카프, 드레스, 안감으로 사용합니다.

위주자(Sateen) - 면 주자, 방적사 소재를 사용하여 광택과 드레이프성, 부드러운 촉감을 내기위해 경주자를 모방하여 제직합니다.

목공단 - 주자직으로 제직 된 면직물로 광택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끈함과 광택 있는 약연의 카드사 재료를 이용하여 머서라이제이션 및 슈레이너 가공을 함. 블라우스, 안감, 침대보, 커튼으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