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의복 소재와 취급 방법 / 신소재 신소재란 새롭고, 일반적이지 않은 소재, 또는 진보된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된 의복재료를 말하며, 소재의 성질에 따라 고성능 의복재료, 고감성 의복재료, 고기능성 의복재료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신소재의 개발에 따라 일반적인 의복재료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자연환경에 노출되는 스포츠 웨어, 우주항공산업이나 전자공업 분야와 같은 곳에서 착용하는 첨단산업용 작업복이나, 인체를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보호복에 이르기까지 섬유의 용도가 확대되었다. 1.고성능 의복재료 고강력, 고탄성, 고강인성, 고초기탄성률의 성질이 부여된 섬유소재로 탄소섬유, 아라미드(aramid)섬유,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유리섬유, 세라믹 섬유 등이 이에 해당된다. ①탄소섬유 탄소섬유는 강도와 탄성률이 월등하고 불연성 섬.. 2022. 9. 18.
의복 소재와 취급 방법 / 무늬 옷감 무늬(pattern) 옷감에는 크게 프린트(print) 무늬와 체크(check), 스트라이프(stripe) 무늬가 있다. 각각의 무늬의 성격을 잘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의복구성을 할 수 있다. 1.프린트 무늬 프린트 무늬란 제직 후 날염에 직물에 무늬를 넣은 것을 말한다. 프린트 무늬를 무늬의 배치면에서 분류하면, 사방에 연속적으로 무늬가 널리 흩어진 무늬와 부분적인 특수 무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연속적으로 흩어진 무늬는 대체로 반복 무늬인데, 무늬의 모티프(motif)와 그 표현 스타일에 따라 대개 5종류로 나눌 수 있다. (A)꽃무늬 꽃무늬는 꽃뿐만 아니라 잎, 줄기, 열매 무늬 등도 포함된다. (B)에스닉과 포크로어 무늬 에스닉(ethnic)과 포크로어(folklore) 무늬는 세계 각지 여러 민.. 2022. 9. 18.
의복 소재와 취급 방법 / 편성물 / 레이스 / 모피와 피혁 1.편성물 메리야스 또는 니트(knit)라고도 하며 편사로 만들어진 고리(loop)에 실을 걸어서 새로운 고리를 만드는 것을 반복하여 만든 피륙을 말한다. 신축성이 풍부하고 유연하며 촉감이 부드러워 인체에 밀착하는 옷을 만들 수 있다. ①저지(jersey) 평편(平編)이라고도 하며 편물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이다. 표면에는 코가 상하로 나타나는 줄(웨일, wale)만이 나타나 있어 겉과 안의 분별이 쉽다. 경사 방향보다 위사 방향의 신축이 크며, 다른 편조직에 비해 가볍고 편조속도(遍組速度)가 빨라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물조직이다. 특히 내의, 스포츠 웨어에 많이 사용된다. ②트리코트(trricot) 경(經) 메리야스 편물의 일종으로 위(緯)메리야스에 비해 신축성이 떨어진다. 이 편물은 다공성이어서 투습.. 2022. 9. 17.
의복 소재와 취급 방법 / 직물 / 인조 섬유 의복재료는 가볍고, 부드럽고, 아름다우며 또한 봉제가 용이해야 한다. 의복 재료에는 직물, 편성물, 레이스 등의 옷감과 피혁, 모피, 필름, 폼, 펠트, 부직포 등이 있다. 섬유는 크게 천연섬유와 화학 섬유로 나뉘는데, 천연섬유는 기후 등의 자연 건조에 의해 생산이 좌우되는데 비해, 인조섬유는 싼 가격으로 성질, 굵기, 양 등을 비교적 임의대로 생산할 수 있다. 의복재료는 과학의 진보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로 발전되어 오고, 따라서 의복구성시에도 이러한 여러 가지 소재에 따른 구성법의 발전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각 섬유의 특징을 이해하고, 무늬나 명칭은 물론 적절한 취급방법을 알아두어 합리적인 의복구성을 전개해 나가야겠다. 또한 소재의 원료, 가공법, 물성 등에 대해서도 전문적.. 2022. 9. 17.